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왜 네이버는 더 개방하지 않을까?

by 한산꾼 2025. 3. 28.
반응형

🔍 왜 네이버는 더 개방하지 않을까?


지금까지는 “폐쇄 전략”이 너무 잘 통했기 때문입니다.

 

자사 생태계에서 생산 → 소비 → 수익까지 자체 선순환 구조 완성

내부 유저를 내부에서 돌리는 게 ROI(수익률)가 가장 높았어요.

굳이 외부로 유저를 보낼 필요가 없었죠.

하지만 그 전략은 한계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Z세대 / MZ세대는 더 이상 블로그·카페를 찾지 않고, 유튜브 / 구글 / 인스타 / 틱톡에서 정보를 찾습니다.

네이버 검색도 "낡았다"는 인식이 많아졌고, 광고 중심 구조에 대한 불만도 큽니다.

AI 시대엔 더 이상 "갇힌 콘텐츠"로는 경쟁이 어렵습니다.

 

✅ 장기적으로 보면...

구분 폐쇄형 생태계 개방형 생태계
초반 수익 구조 안정적, 수익률 높음 다양성 확보 필요
콘텐츠 다양성 내부 작성자 의존 외부 유입·다양한 창작자 유입 가능
글로벌 확장성 매우 낮음 자연스럽게 확장
사용자 만족도 점차 하락 외부와 연결되며 만족도 상승 가능
즉, 장기적으로는 ‘폐쇄성’이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갈수록 열린 정보 / 다양한 출처 / 빠른 검색 경험을 원하고 있거든요.

 

🔁 구글과 비교하면 더 명확해져요

항목 네이버 구글
기본 검색 철학 내부 콘텐츠 우선 전 세계 웹 오픈 콘텐츠 탐색
사용자 체류 전략 자사 서비스에 붙들어두기 정보는 주고 유저는 떠나도 좋음
콘텐츠 생태계 블로그·카페 등 자체 플랫폼 전 세계 수많은 웹사이트
광고 구조 노출 우선, 상단 점유형 검색 의도 중심 매칭형
글로벌 확장성 국내 중심 전 세계 어디서나 동일한 UX


✍️ 결론적으로…

사용자 관점에서는
"정보를 많이 주는 플랫폼 = 신뢰도 높은 플랫폼"입니다.
네이버가 정말 사용자 중심으로 간다면,
‘열려 있는 플랫폼’으로의 전환이 장기적으론 정답이에요.

저도 개발자 입장에서 보면,
네이버가 이제는 정말 방향을 바꿔야 할 시점이 아닌가 싶어요.
그만큼 포텐이 큰 회사니까요.

반응형